좋은 커리어를 시작하려면, SAP 경험이 답이다
커리어를 제대로 시작하려면 SAP 경험이 필수다
제가 37살에 커리어 전환을 준비하면서 가장 크게 부딪힌 벽이 바로 SAP 경험이 없다는 사실이었습니다.
커리어 초반에는 그저 주어진 일만 열심히 하면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작은 회사든, ERP 시스템이 없든, '일만 잘하면 되겠지'라고 안일하게 여겼습니다.
하지만 커리어가 쌓이고, 과장급 이상의 직급에서 이직을 준비하다 보니 현실은 달랐습니다.
좋은 회사, 더 큰 회사, 연봉이 높은 회사는 하나같이 이력서에 'SAP 경험자 우대'를 명시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면접에서는 이렇게 묻습니다.
"SAP 프로세스 이해하고 계시죠?"
"SAP 기반으로 재고, 구매, 생산 관리해본 경험이 있나요?"
그 순간 깨달았습니다.
아무리 열심히 일했어도, 글로벌 표준 프로세스를 경험해본 적 없는 사람은 다음 스텝으로 올라가기 어렵다는 걸요.
SAP 경험이 커리어 성장에 필수적인 3가지 이유
1. SAP = 글로벌 프로세스 경험자라는 증명
SAP는 단순한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전 세계 수많은 대기업과 글로벌 기업들이 SAP을 기반으로 비즈니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즉, SAP 경험이 있다는 것은 '국제 표준'을 이해하고 따를 수 있다는 확실한 증거가 됩니다.
2. 규모 있는 회사에서 일했다는 신뢰
SAP는 시스템 도입 비용이 엄청납니다.
수천만 원, 심하면 수억 원이 드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SAP를 쓰는 회사 = 어느 정도 규모가 되는 회사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 회사에서 일한 경력은 자연스럽게 신뢰를 줍니다.
3. 회사가 기본 프로세스를 갖추고 있다는 증명
ERP가 없는 회사는 사람 손으로 모든 것을 처리합니다.
사장이 "그냥 엑셀로 해"라고 하면 그게 프로세스가 됩니다.
반면 SAP를 도입한 회사는 프로세스가 체계화되어 있어,
비효율적인 일을 반복하지 않고, 역할과 책임이 명확합니다.
왜 하필이면 SAP 일까? 다른 ERP는 안 되는 것인가?
혹시 '그럼 Oracle ERP나 Microsoft Dynamics 365는 어떤가요?'라고 궁금해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들도 훌륭한 글로벌 ERP입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시장 점유율을 보면 답이 나옵니다.
- SAP: 글로벌 ERP 시장 점유율 약 24% (Statista 2024)
- Oracle ERP Cloud: 약 5%
- Microsoft Dynamics 365: 약 3%
압도적입니다.
이직 시장에서도 SAP 경험자는 어디서든 먹히지만,
Oracle이나 Dynamics 경험자는 산업군에 따라 제한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회 초년생이라면 SAP가 있는 회사를 추천하는 것입니다.
기본이 탄탄한 곳에서 시작하면, 그 다음 커리어는 정말 편해집니다.
(참고로 그 외의 ERP는 더존, 영림원, 이카운트 같은 로컬 ERP 나 그 회사 고유의 ERP 입니다. 호완성은 위의 글로벌 ERP보다 낮습니다)
첫 직장 선택 시 SAP 시스템 도입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라
그래서 이직을 준비하거나 첫 회사를 고를 때, 꼭 이렇게 검색해보세요.
- 잡코리아, 사람인 같은 사이트에서
- [직무명] + SAP 키워드로 검색
- 채용 공고에 'SAP 사용' 또는 'SAP 가능자 우대'가 나오는지 체크
SAP가 언급된 곳이라면,
아무리 연봉이 조금 낮더라도,
커리어 장기전에서는 무조건 이익입니다.
SAP은 좋은 커리어의 시작점이다
저는 정말 후회합니다.
20대 때, 그냥 아무 회사나 들어가서 SAP 없는 환경에서 일했던 걸요.
만약 그때 누군가가
"야, SAP 있는 회사 가라.
그게 네 인생 커리어를 지켜줄 거야."
라고 조언해줬다면,
지금 이렇게 힘들게 다시 커리어 전환을 준비하지 않았을 겁니다.
그러니, 이 글을 읽는 사회 초년생 여러분, 쥬니어 후배 여러분,
꼭 기억하세요.
SAP 경험 = 커리어 기본기를 탄탄히 다질 수 있는 최고의 무기입니다.
처음 회사 선택, 절대 가볍게 생각하지 말고,
SAP를 쓰는 회사인지부터 확인하고 가세요.
그 작은 선택이 여러분의 5년, 10년 후를 완전히 바꿔놓을 것입니다.
'중소기업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계 취업 박람회, 코엑스에서 직접 면접까지 본 후기 (0) | 2025.05.20 |
---|---|
좋은 중소기업 고르는 법: 직원 수 20명 이상이 마지노선인 이유 (0) | 2025.04.05 |
이직 생각 하기 전 스스로 해야 하는 체크 리스트 (0) | 2025.03.29 |
면접 때 자기 소개는 굳이 준비할 필요가 없다? (자기소개 준비 방법) (0) | 2025.03.06 |
좋은 기업에 가기 위한 방법 - 스펙편 1 - 커뮤니케이션 능력 (0) | 2024.05.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