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좋은 중소기업 고르는 법: 직원 수 20명 이상이 마지노선인 이유

Jimmys 2025. 4. 5.
반응형

커리어를 성장시키고 싶다면 최소 직원이 많은 중소기업으로 가야합니다.

 

중소 기업 중 어디를 가야할지 모르겠다고 한다면 직원 많은 곳으로 가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직원 수 20명 이상인 회사를 가야한다

 

유투브를 보다가 우연히 중소기업에 대한 숏츠를 봤습니다.
그런데 거기서 20명 이상인 중소기업이 마지노선이라고 하더군요
저도 여기에 극히 공감하였습니다.


그 이유가 뭘까요?

 


작은 회사에 가면 대표처럼 일할 수 있다는 착각

 


작은 회사에 가면 내가 여러가지 일을 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작은 회사에서는 오히려 대표가 회사 일의 80%를 합니다.
직원은 20% 일만 할 따름이죠
그리고 사장이 하는 80%를 그저 보기만 할 뿐입니다.
즉 보조적인 역할만 하는 건데요. 

 

신입사원 1, 2년차 까지는 괜찮지만 그 이상의 경력에는 전혀 도움이 안 되고 오히려 독입니다.

 

진짜 대표처럼 일 할 수 있는 곳은 최소 20명 이상의 중소기업

 


하지만 직원이 많아 질 수록 대표가 하는 일은 줄어듭니다.
한 개인이 할 수 있는 한계 이상으로 비즈니스 규모가 커지기 때문인데요
그러니 사람을 뽑는거죠
그러면 결국 대표는 본인의 일을 직원에게 위임을 할 수밖에 없는 구조인겁니다.

그러면 왜 20명이냐?
한 부서에 10명까지는 보통 있을 수도 있고, 나뉜다고 해도 10명이 2개 부서로 나뉘는거 뿐이지만
20명이 된다면 영업부, 인사팀, 재무팀 등으로 보다 더 세분화 된 조직 구성이 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즉 20명 이상의 회사는 이미 시스템이 있고 대표는 그 시스템에 본인의 일을 위임해놨기 때문에 

그런 회사로 간다면 대표가 위임해준 시스템 안에서 대표가 하던 일을 일부라도 할 수 밖에 없는겁니다.

 


구직 시 꼭 확인할 기준 : 직원 수

 


그렇기 때문에 사람인에서 커리어를 시작할 중소기업을 찾는다면 부서와 산업군을 본 다음에는 꼭 직원 수를 확인하세요.
내가 가도 괜찮은 중소기업인지 알 수 있는 가장 간편한 방법은 기업 정보에서 직원 수를 확인하는 겁니다.
20인 이상이다? 그러면 일단 지원하고 면접이 잡히면 가서 분위기를 보면 됩니다.

그러면 높은 확률로 제대로 된 중소기업을 고를 수 있으리라 봅니다.

커리어 전환점을 모두 10인 미만 기업에서 보낸 한계


저는 커리어 전환기라 할 수 있는 입사 3~6년차를 모두 10인 미만 기업에서 보냈습니다.

그러고 나서 커리어 전환을 하려고 하니 쉽지가 않더군요.

왜냐면 모든 커리어의 기본을 입사 3~6년차에서 배우기 때문입니다.

 

주변에 중소기업에 있던 사람들 중에 팀별로 나뉜 기업에 있던 사람들은 모두 커리어 상승이 가능했습니다.

왜냐면 시스템 안에서 기본을 쌓았기 때문이죠

 

하지만 10인 미만 기업은 시스템이 없습니다.

대표가 시스템이죠.

그러다보니 그저 내 식으로 커리어를 쌓을 뿐 그 이상이 없습니다.

 

요즘 구직이 힘들어서 이래저래 한마디 보태봅니다.

저와 같은 실수 하지 마시고 부디 규모 있는 중소기업을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