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9살부터 시작하는 재테크! 종잣돈 1억 모으는 전략을 세우자

Jimmys 2025. 2. 5.
반응형

39살 늦은 나이에 재테크 공부를 시작한다

 

늦은 나이에 재테크 공부
늦은 나이에 시작한 재테크 공부

10년 동안 재테크 공부를 해본적이 없었다.

 

회사생활을 시작한지 10년 동안 재테크라는 말을 듣기만 하고 제대로 공부해본적이 없었다.

그리고 10년 뒤에 나와 내 주변을 보니 어마어마한 격차가 벌어져있었다.

대체 어디서 나와 그들과의 차이가 나기 시작한걸까?

 

모두가 시장에 비관적일 때 그들은 시작했고 좋아질때까지 버텼다

 

두려움 때문에 시작을 못 하는 투자자
두려움 때문에 시작을 못 하는 투자자

 

10년, 나도 제태크에 대해 시작해보려고 했었다.

하지만 당시에는 부동산이든 주식이든 오른 적이 없이 계속 지지부진한 상태였다.

그러다보니 주변에서는 하는 말은 항상

 

그런거 해봐야 잘못하면 까먹기만 한다.

사기꾼이 얼마나 많은데 그러냐

해봐야 안 된다. 절약만이 답이다

 

이런 말들이었다

 

그 당시에는 그런 말이 나올만도 했다. 

2014년 당시 2008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부동산, 주식 심지어는 미주가 폭락하면서 모두 충격에 빠져있었다.

당시 주식시장에 있던 사람은 절망을

그리고 관망하던 사람들은 확인을 했다.

 

주식이나 아파트나 돈이 안 된다고.

 

그리고 그 생각은 아무런 생각이 없던 나에게 이렇게 말했다

 

"주식이나 제태크하지 말고 현재 일을 열심히 하면서 열심히 저축만 해"

 

하지만 반대로 그럴 때 제태크를 시작한 사람이 있었다.

지금 그들과 나는 어떻게 차이가 날까?

 

10년뒤 그들과 나의 자산은 2배 이상 차이가 나고 있다.

 

아래는 월 100만원씩 저금만 한 사람과 보수적인 투자를 한 사람, 적극적인 투자를 한 사람의 10년 뒤 자산 차이이다

 

 
분류 단순 저축
(이자 수익)
S&P500 투자
(보수적 투자)
적극적 투자
(성장주 + ETF 조합)
누적 투자 원금 (10년) 1억 원 1억 원 1억 원
예상 자산 가치 (10년 후) 1억 원 (+이자) 약 2억 2천만 원 약 4억~5억 원 (변동성 고려)
연평균 수익률 약 2% (예금 이자) 10% 20~25% (성장주 조합)
연간 수익 (10년 후) 약 200만 원 약 2,200만 원 약 4,500만~5,000만 원
월간 수익 (10년 후) 약 17만 원 약 183만 원 약 375만~417만 원

 

 

보수적으로만 투자한 사람과도 두배는 차이가 난다. 솔직히 내가 정리하면서도 정말 놀랬고 자괴감이 들었다.

만약 똑같이 현생을 열심히 살았는데, 나와 재테크를 한 사람간의 차이가 이만큼 나는 것이다.

 

거기에 투자하는 사람이 가만히 있지 않고 여기저기 투자를 했을텐데 부동산이나 코인까지 투자한 사람은 두배가 아니라 표에서 보듯 5배에서 10배까지도 차이가 날 것이다.

 

그들이 뭔가 특별한 재주가 있어서 시작을 했겠는가? 아니다 그냥 그들은 용감하게 들어가고 버틴거뿐이었다.

운도 있었겠지만 시장에 들어가 있었으니 운을 잡은거지 우리처럼 구경만 했었다면 운을 잡지도 못 했다.

 

간신히 모은 1억에 대출을 포함해서 간신히 내집 마련을 했을 때에, 임장을 하면서 정말 아쉬웠다.

나에게 3억만 있었어도, 신축으로 들어가는건데 구축으로 들어가고, 구축이라도 더 좋은 입지로 갈 수 있는건데 하면서 아쉬웠고 자괴감마저 들었다.

 

그래서 나는 재테크를 시작하기로 했다.

 

 

하지만 아직도 시장 비관론자들은 나를 유혹한다.

 

 

그런데 재밌는건 현재도 마찬가지로 내 주변에는 비관적인 이야기 투성이이다.

지금도 이미 고점을 찍어서 다들 주식이나 코인, 부동산은 하면 안 되며, 유투브를 보면 항상 위험하다, 비관적이다 라는 말로 도배가 되어있다.

 

그 말이 맞을 수도 있다.

 

확실히 코로나 이후 전쟁까지 지나면서 주식 시장과 부동산 시장은 지난 10년 중 가장 최고치를 찍었고 이제 서서히 내려오고 있다.

 

그 말도 맞지만 시장은 항상 우상향을 하고 화폐가치 (저축)은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다.

 

하지만 그들은 시장의 변동성의 안 좋은 부분만 보고 있다.

시장은 항상 우상향을 해왔고, 화폐가치는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다.

 

예전에 만원이면 샀던 엘지 주식은 이제 10배 이상이 되었고, 5만원이었던 비트코인은 1억이 되었으며, 5억하던 아파트는 10억이 되었다. (어디까지나 극단적인 예시이지만 자산 가치는 계속 올라가고 있다)

 

그리고 천원에 살 수 있던 짜장면은 이제 만원이 되었다. 

예전에 만원이면 정말 배불리 먹을 수 있었지만 이제는 만원 이하 메뉴이면 정말 가성비 좋은 메뉴가 되었다.

 

그리고 가치가 오르는 자산은 하나도 없이 비싸진 물가만 체감하고 있다.

 

나는 10 년뒤에도 같은 생각을 하고 싶지 않다

제태크 공부 시작
늦은 나이 제태크 공부 시작

 

10년뒤에도 시장과 세계는 같은 상황을 맞이 할 것이다.

자산 가치는 오르고 화폐가지는 하락할 것이다.

 

그 때 난 10년 뒤에도 "아 그 때 할 껄", 하면서 후회하진 않을 것이다.

반드시 10년 뒤에는 나도 일말이나마 오른 자산 가치를 느끼고 싶다.

10년 뒤에 후회하고 싶지 않다.

그리고 상황이 잘 되면 10년 뒤에는 자산만으로 먹고 살 수 있지 않을까 싶다.

 

후회는 충분히 했다

10년 뒤에도 같은 후회를 하고 싶지 않다

지금은 간단하게 5년 안에 1억 모으기를 목표로 시작한다

 

그래서 나는 지금 투자를 시작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것이 위대한 시작이 되길 바란다.

 

 

 

반응형

댓글